Docker 11. Docker Window 설치 오류(error during connect...)
개요
Docker Desktop을 Window 환경에 설치관련 트러블 슈팅
Docker for Window
사내 업무용 윈도우 PC에 Docker 설치하려고 하니 처음보는 에러메시지가 출력되었다. 해당 오류를 트러블슈팅했던 내용을 기록한다.
Docker Desktop을 Window 환경에 설치관련 트러블 슈팅
사내 업무용 윈도우 PC에 Docker 설치하려고 하니 처음보는 에러메시지가 출력되었다. 해당 오류를 트러블슈팅했던 내용을 기록한다.
스프링부트(spring-boot)
프로젝트를Docker
로 구동해보기
앞선 포스팅에서 우리는 스프링부트 프로젝트를 jar로 만들었다. https://zunoxi.github.io/programming/2020/08/11/dev-web-spring_jar/ 포스트에 이어서 해당 jar파일을 이용해 도커 이미지를 만들어보자.
docker와 그 container를 다룰때 편리한
command
들을 정리
컨테이너환경에서 개발을 하다보면 도커의 명령을 매우 자주 사용하게 된다. 이부분은 인프라엔지니어가 아니라도 일반 개발자도 Devops가 적용된 개발환경
이라면 도커에 대한 명령어를 자주 쓰게되므로 해당 글을 정리한다.
Docker commit
을 활용하여컨테이너
를 이미지화 시키기
Docker 사용 시 가끔 컨테이너 내부에서 프로그램의 환경을 수정
하는 경우가 생기는데, 도커이미지는 읽기 전용 이기 때문에 컨테이너
에 수정된 설정데이터가 쌓이게 된다.이는 즉, 수정된 해당 컨테이너는 컨테이너 삭제시 변경했던 데이터가 모두 초기화 되는것을 의미한다.
Docker volume
을 활용하여Was log
를 호스트에 저장하기
톰캣을 도커 컨테이너로 운영하게 되면 방대한 로그의 양
때문에 컨테이너의 용량이 매우 커지게 된다. Docker의 데이터 경로를 별도로 설정해 주었다고 해도 컨테이너가 삭제되면 로그파일도 함께 날아가기에, 비휘발성 데이터들은 로컬에 저장
하는게 안정적일 것이다. 그런 의미로 이번 포스팅에서는 Docker의 Volume기능을 활용하여 호스트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연동해보려 한다.
Docker
를 활용하여Tomcat
운영하기
쿠버네티스와 도커를 함께 배우다 보니 문뜩 Tomcat
도 오케스트레이션 범주에 포함시켜서 예상치 못하게 WAS가 죽어버렸을 경우, 자동으로 재기동
되게끔 할 수 없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해당이유로 이런 시스템 구축을 위해 Docker를 활용한 tomcat운영을 먼저 해보기로 했다.
Docker
데이터 경로 변경 설정
도커를 사용하다보면 서버의 root 폴더
에 docker image와 컨테이너가 계속 쌓이게된다
. 이런 환경에서 서버 운영체제를 다시깔게 되면 이미지 파일이 모두 날아갈 수 있고, 더 나아가 root 폴더에 용량이 꽉차면 아예 서버가 멈춰버리는 현상이 발생할 수 도 있다.
자, 이번 포스팅에서는 서버에 띄우기 위한 도커파일을 만들기 위해 윈도우와 리눅스에서 도커를 설치해 보려한다.
~(왜냐면 필자가 윈도우에서 개발하니까….!!!)~
이번 포스팅은 이미 등장한지 5년이 넘고 컨테이너 기술의 표준으로 자리잡았지만, 아직 접해보지않은 사람에게는 생소할 수 있는 Docker
와 쿠버네티스
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고 인프라관련용어
들에 대해 정리해보려한다.